조회수 760회 | 관심설정 0개

마감사업

2023년 미국 바이오ㆍ디지털 헬스케어 수출현지화 프로그램 참여기업 모집 연장 공고

지역지역전국
금액금액공고문 참고
지원분야지원분야수출
접수기간 ~
주관기관중소벤처기업부
접수기관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

조회중..

사업개요

중소벤처기업의 글로벌 제품현지화 및 판로확대를 지원하는 「의료ㆍ디지털 헬스케어 수출현지화 프로그램」의 참여기업 모집 계획을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.


☞ 「중소기업기본법」 제2조에 따른 중소기업으로, 의료ㆍ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제품ㆍ기술 등의 미국시장 기 진출 또는 진출을 계획하고 있는 기업


☞ 수출현지화(시카고ㆍ워싱턴DC) 프로그램 참여비용(업체당 $37,800 ~ $47,250) 지원

지원분야 및 대상

「중소기업기본법」 제2조에 따른 중소기업으로, 의료ㆍ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제품ㆍ기술 등의 미국시장 기 진출 또는 진출을 계획하고 있는 기업

지원 및 조건 내용

참가업체별 진단을 기반으로 미국 바이오․디지털헬스 시장진출을 위한 집중·맞춤형 현지화 프로그램 제공

 

ㅇ 참가업체별 진단을 기반으로, 전담 멘토팀 별도 배정 및 밀착지원

 

ㅇ 업체별 시장진입 전략 구축, 제품개선, 시제품 개발․테스트, 투자유치, 바이어 발굴 등 맞춤지원


지역 및 현지 전문기관 특성과 강점을 반영하여, 지역별로 2개 프로그램(①시카고 프로그램 ② 워싱턴DC 프로그램) 지원 


 ㅇ 신청 중소기업은 2가지 프로그램의 선호순위를 정하여 신청하여, 1개 프로그램에만 참여하게 됨


 ㅇ 프로그램별 전문기관 : 시카고-MATTER, 워싱턴DC-BHI

  - (MATTER) 시카고 및 북미 병원, 제약, VC, 보험사 등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집중적이고 체계적인 수출현지화 프로그램 제공

  * ‘15년 일리노이주정부 및 시카고시 지원으로 설립된 디지털헬스케어·의료기기 전문 글로벌 창업육성 지원기관(설립후 스타트업 700개 지원 및 22.5억$ 투자유치)

 - (BHI) 바이오헬스 클러스터에 집약된 정부기관, 연구소, 대학, 병원, 글로벌기업 등 다양한 자원을 연계하여 현지화 맞춤 지원

  * ‘11년 메릴랜드주에 설립된 바이오헬스 지원 허브기관, 한국‧유럽 등 해외기업 현지화 지원에 특화, 연방정부 보조금 100건, 5,700만$ 획득 지원(성공률 51%)

신청 방법

(신청기간) 공고개시일 ~ 2023. 5. 19.(금) / 한국시간 기준

(신청방법) 별첨의 참여신청서 및 동의서를 작성‧날인, 기타 필요 서류를 구비하여 다음의 담당자 4명 모두에게 e-메일 접수

* director@kbdcchicago.org, molliepark@kbdcchicago.org

kyt@kosmes.or.kr, info@kosme-dc.org

신청 서류

① 참가신청서(붙임1, 국문 및 영문 각1부, 전자파일 원본과 날인 스캔본) ② 참여계획서(붙임2, 국문 및 영문 각1부, 전자파일 원본과 날인 스캔본) ③ 신용정보/기업정보 제공 및 활용동의서(붙임3~4, 날인 스캔본) ④ 청렴수행 이행서약서(붙임5, 날인 스캔본) ⑤ 제품카다로그 및 회사소개자료(한글 및 영문본 제출 요망) ⑥ 사업자등록증명원(국세청 홈텍스 발급) ⑦ 국세 및 지방세 납세증명서(법인, 대표이사 모두) ⑧ 표준재무제표증명원(최근 2개년(’21년~‘22년), ’21년 미결산시 가결산자료 가능) ⑨ 수출실적증명원(최근 2개년, ‘21~’22년, 무역협회 또는 무역통계진흥원) * 직접수출증명, 용역 및 전자적 무체물 수출증명서(보유시) 모두 제출 * 미국 수출실적이 있는 경우 연도별로 구분하여 별도 제출 ⑩ 중소기업확인서(중소기업현황정보시스템(sminfo.mss.go.kr)에서 발급, 신청일 현재유효) ⑪ 가점항목 증빙서류(미국특허, 미국 인증서(FDA, 510K))

문의처

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글로벌사업처 : 055-751-9674

첨부파일

  • [첨부] 2023 바이오_디지털헬스 현지화 프로그램 공고_연장접수.hwp