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업개요
기능성표시식품, 건강기능식품 및 기능성화장품 등 기능성 소재의 상용화를 희망하는 전라북도 소재 기업을 대상으로 세포 효능평가, 동물수준 비임상 효능평가, 품질 분석 등을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.
☞ 기능성소재를 활용해 산업화하고자 하는 전북 기업
☞ 지표성분 분석법 정립 및 정량 분석, GMP 생산, 간이독성 평가 등 지원
조회수 1,376회 | 관심설정 1개
지금 카카오로 로그인하고
나의 숨은 지원사업을
쉽고, 빠르게 조회해보세요
지역 | 전라북도 |
금액 | 공고문 참고 |
신청기간 | ~ |
주관기관명 | 전라북도 |
접수기관명 | 전북대학교 |
전화문의 | 063-219-5257 |
기능성표시식품, 건강기능식품 및 기능성화장품 등 기능성 소재의 상용화를 희망하는 전라북도 소재 기업을 대상으로 세포 효능평가, 동물수준 비임상 효능평가, 품질 분석 등을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.
☞ 기능성소재를 활용해 산업화하고자 하는 전북 기업
☞ 지표성분 분석법 정립 및 정량 분석, GMP 생산, 간이독성 평가 등 지원
지원 대상
◦ 도내 기업으로 기능성표시식품, 건강기능식품 및 기능성화장품 등 기능성소재를 활용하여 산업화하고자 하는 기업 관계자
◦ 바이오화장품 제조업, 건강기능식품 제조업, 식품용 미생물 및 효소 제조업, 식품첨가물 제조업, 발효식품제조업 및 기타 바이오식품 제조업 등
∘ 기능성 스크리닝 및 세포 효능평가 지원
- 효소실험, 세포실험 등을 통한 in vitro 효능평가·검증
∘ 지표성분 분석법 정립 및 정량 분석 지원
- 건강기능식품, 기능성표시제품 등 지표성분의 분석법 확립 및 정량평가
∘ 동물수준 비임상 효능평가 및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지원
- 동물모델을 이용한 기능성·유효성 평가 지원
∘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지원
- 개발 소재, 제품의 마이크로바이옴 변화 분석(동물시험 연계)
∘ 시제품 생산 지원
- 건강기능식품, 기능성 원료 GMP 생산 및 QC분석 지원
∘ 간이독성 평가 지원
- 개발 소재, 제품의 간이독성 평가 지원(제브라피쉬)
∘ 시제품 품질분석 지원
- 기능성표시제품, 건강기능식품 등 품질분석 지원
접수 및 문의처
- 접수방법 : 이메일 또는 우편, 방문 접수
※ 이메일 접수 시 반드시 담당자와 통화하여 접수 확인 요망
- 접수일자 : 2023.01.02.(월) ~ 2023.01.31.(화)(우편접수는 마감일 18:00 도착분에 한함)
- 접수처 : (재)전북바이오융합산업진흥원, 정은정 주임연구원(ejjeong@jif.re.kr)
- 문의처 : 지원 유형별 연락처 참고
※ 제출된 서류는 일체 반환하지 않음
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
오현화 연구부장 (063-219-5257)
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
김상준 팀장
(063-711-1054)
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
노은미 연구원
(063-711-1062)
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
양희종 팀장
(063-650-2035)
전북바이오융합산업진흥원
정은정 주임연구원
(063-210-6532)
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
양희종 팀장
(063-650-2035)
전북바이오융합산업진흥원
정은정 주임연구원
(063-210-653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