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업개요
국가 신약개발을 위해 신약 기반 확충 연구 및 신약 R&D 생태계 구축 연구, 신약 임상개발 등 연구개발에 필요한 연구비를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.
☞ 중소기업, 대학(의료기관 포함), 출연(연), 국ㆍ공립 연구기관
☞ 신약 기반 확충 연구, 신약 R&D 생태계 구축 연구, 신약 임상개발 등 지원
⚠️ 해당 지원사업은 마감된 지원사업 입니다.
다른 지원사업 보러가기조회수 1,075회 | 관심설정 0개
지금 카카오로 로그인하고
나의 숨은 지원사업을
쉽고, 빠르게 조회해보세요
지역 | 전국 |
금액 | 공고문 참고 |
신청기간 | ~ |
주관기관명 | 보건복지부 |
접수기관명 | 국가신약개발재단 |
전화문의 | 02-6379-3083 |
국가 신약개발을 위해 신약 기반 확충 연구 및 신약 R&D 생태계 구축 연구, 신약 임상개발 등 연구개발에 필요한 연구비를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.
☞ 중소기업, 대학(의료기관 포함), 출연(연), 국ㆍ공립 연구기관
☞ 신약 기반 확충 연구, 신약 R&D 생태계 구축 연구, 신약 임상개발 등 지원
ㅁ 신약 기반 확충 연구(유효물질/선도물질)
ㅇ 중소기업, 대학(의료기관 포함), 정부출연연구기관, 국·공립 연구기관
ㅁ 신약 R&D 생태계 구축 연구(후보물질 비임상)
ㅇ Track1(협력기반형) 중소기업 -> 대학, 정부출연연구기관, 국·공립 연구기관 및 기업과 협력한 과제여야 함
ㅇ Track2(중소/중견기업 중점 지원형) 중소기업, 중견기업 -> 대기업 제외
ㅁ 신약 임상개발(임상1상/임상2상)
ㅇ 중소기업, 중견기업, 대기업
ㅇ 지원기간: 총 지원기간 내에서 최종목표 달성에 필요한 연구기간으로 산정. 단, 연구 시작일은 협약 협의 시 조정될 수 있음
※총 지원기간과 총 연구개발비가 “내외”로 되어 있는 RFP의 경우 연구개발계획서에 실제 소요되는 기간과 연구개발비로 제안할 수 있음. 단,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(IRIS) 상에서는 RFP의 기준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연구개발계획서에 표기하여야 함.
ㅇ 지원규모: 최종목표 달성을 위해 소요되는 연구비로 지원기간 내에서 해당 개발단계별 총 연구비 범위에서 자율적으로 설정
ㅇ 지원단계: 유효물질 ~ 임상2상 중 RFP별 해당 개발단계
ㅇ 지원범위:
- 신약
※ 지원 제외: 개량신약, 바이오시밀러, 복제의약품
- 합성의약품, 바이오의약품(유전자·세포치료제, 항체, 백신, 펩타이드, 단백질, 혈액제제 등), 천연물의약품
※ 지원 제외: ex-vivo 방식의 유전자·세포치료제, 조직공학제제, 첨단바이오융복합제제, 한약제제단, 유전자·세포치료제 중 in vivo 방식 및 ex-vivo 중 항암면역세포치료제(유전자 탑재여부와 관계없이 단순 배양 T 세포 및 NK 세포 등을 포함)은 지원
- 모든 질환 분야
※ 지원 제외: 치매치료제, 감염병 (코로나19 등) 예방 및 치료제
ㅇ 마일스톤: 전체 연구개발과정 중 중요한 연구 결과물이 나오는 중간목표를 정하여, 평가를 통해 다음 연구단계로 진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설정된 연구 기간을 뜻함. 과제에 따라 복수 마일스톤(연속적으로 다음 연구단계로 이행될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마일스톤으로 구성)으로 구성 가능함. 지원 기간 이내에 달성이 가능한 마일스톤 제시 필수
ㅇ 혁신형 제약기업으로 인증받은 기업이 지원하는 경우 가산점을 부여함
ㅇ 협력·공동연구의 경우 우대함 (CRO 등 용역, 위탁연구는 제외) - 협력·공동연구란, 하나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여러 연구분야가 공동·
협력하여 수행하는 연구
○ 2022. 12. 26. 신규지원 대상과제 공고
○ 2023. 01. 26.(목) 14:00 (연구책임자) 과제 신청(전산입력) 마감
○ 2023. 01. 27.(금) 14:00 (주관연구개발기관) 기관담당자 승인 마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