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업개요
주요 고객층 중심의 사용성 평가 및 개선점 도출을 통해 서비스의 개선 도모 및 디지털 격차해소에 기여하고자 서울 소재 디지털 콘텐츠ㆍ서비스 보유기업을 대상으로 디지털 서비스의 사용성 평가ㆍ분석 및 UIㆍUX 개선 방향 도출을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.
☞ 서울 소재 디지털 콘텐츠ㆍ서비스 보유기업
☞ 디지털 서비스의 사용성 평가ㆍ분석 및 UIㆍUX 개선 방향 도출 지원
⚠️ 해당 지원사업은 마감된 지원사업 입니다.
다른 지원사업 보러가기조회수 671회 | 관심설정 0개
지금 카카오로 로그인하고
나의 숨은 지원사업을
쉽고, 빠르게 조회해보세요
지역 | 서울특별시 |
금액 | 공고문 참고 |
신청기간 | ~ |
주관기관명 | 서울특별시 |
접수기관명 | 서울디지털재단 |
전화문의 | 02-570-4674 |
주요 고객층 중심의 사용성 평가 및 개선점 도출을 통해 서비스의 개선 도모 및 디지털 격차해소에 기여하고자 서울 소재 디지털 콘텐츠ㆍ서비스 보유기업을 대상으로 디지털 서비스의 사용성 평가ㆍ분석 및 UIㆍUX 개선 방향 도출을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.
☞ 서울 소재 디지털 콘텐츠ㆍ서비스 보유기업
☞ 디지털 서비스의 사용성 평가ㆍ분석 및 UIㆍUX 개선 방향 도출 지원
서울 소재 디지털 콘텐츠‧서비스 보유기업
ㅇ 스마트기기(모바일, PC 등) 기반으로 서비스(앱 혹은 웹)를 제공하는 기업
ㅇ 시장 출시 전 혹은 기 상용화된 디지털 서비스 중 사용자 중심의 사용성 개선을 희망하는 기업
디지털 서비스의 사용성 평가‧분석 및 UI‧UX 개선 방향 도출
사용성평가(테스트)
‣ 서비스의 사용자(고객) 테스트 및 평가
- 하단의 ①~⑥ 항목 중 선정된 서비스별 특성에 따라 2가지 내외로 평가 항목 및 방법론을 설정하여 진행
- 서비스의 주요 고객을 대상으로 사용자 평가 및 테스트 진행(20명 내외)
(예시) 고령층 중심의 대상 서비스일 경우,
① 행동관찰 : 서비스의 효율성(속도, 오류, 실수극복), 효과성(최초성공, 인지성,이해성) 등 디지털 서비스 활용역량 측정
② 시선추적‧분석 : 서비스 페이지별 사용자의 응시 시선의 점유율, 체류시간,응시유형 등 정량적․동적 분석
③ 뇌파측정‧분석 : 사용자가 서비스 사용시에 느끼는 자율신경계의 변화 등 무의식적인 감성 반응을 측정
④ PPG(심박수)측정 : 사용자가 서비스를 사용할 때 느끼는 흥분, 긴장 등 심리적 변화를 통한 심박수를 측정
⑤ 심층인터뷰 : FGI 형태로 문제점 및 개선방안 등 사용자 의견 조사
* FGI(Focus Group Interview) : 진행자와 함께 특정 경험을 한 사람들이 모여 의견을 공유하며, 논의하는 인터뷰 형태의 조사 방법
⑥ 온라인 설문조사 : 다수의 소비자들에게 의견을 수집하거나 통계자료 확보를 위해 수행하는 조사 방법(B2C 서비스에 주로 사용
전문가 자문
‣ UX, 인체공학, 웹디자인 분야 등 관련 전문가 자문
‣ 심미적, 감각적 요소를 고려한 UI‧UX 개선 방안 도출
결과보고서 제공
‣ 사용성 평가‧분석 결과 및 개선 방안 제공
- 사용자 테스트 분석 결과, 사용자 인터뷰 결과 등
- 사용성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 UI‧UX 전문가의 개선방안 등
신청기간 : 2023.02.09(목) ~ 03.09(목) 접수분까지
접수방법 : 담당자 E-mail 제출 (* syhwang@sdf.seoul.kr)
※ G메일 다수 오류로 가능한 경우 다른 계정을 활용하여 제출하며, 메일 제출 후 담당자 유선연락을 통해 수신여부 확인 필수. 확인이 안 될 시에 접수가 불가할 수 있음
※ 제출서류는 압축파일(1개)로 제출(예시: (기업명) 디지털 사용성 평가 지원 신청.zip)
신산업성장팀 황서연 주임 02-570-4674